합동택배 배송조회를 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일반 택배랑은 뭔가 좀 달라서 처음 이용하시는 분들은 적잖이 당황하시더라고요. 특히 판매자분이 운송장 번호를 깜빡하기라도 하면 조회도 할 수 없고... 정말 답답하더라고요.
하지만 중요한 '이것' 하나만 알고 있으면 문제없습니다. 오늘 그 비밀을 시원히 알려드릴게요. 이제 더 이상 답답하게 기다리지 마세요.
합동택배, 넌 대체 누구냐?
자~! 합동택배에 대해 먼저 좀 알아봐야겠죠? 저도 회사 신입 시절, 웬 커다란 가구나 기계 부품이 합동택배로 온다고 해서 당황했던 기억이 나네요. 우리가 흔히 쓰는 CJ대한통운이나 우체국택배랑은 좀 다르더라고요.
합동택배는 사실 '경동택배'랑 거의 한 가족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주로 기업들이 이용하는 B2B 전문 택배랍니다. 그래서 자동차 범퍼나 타이어, 대형 가구처럼 무겁거나 부피가 엄청 큰 물건들을 전문적으로 취급해요. 일반 택배사에서는 잘 안 받아주는 물건들이죠. 그래서 혹시 중고로 자전거를 사셨거나, 큰 가구를 주문했는데 합동택배로 온다고 하면 '아하, 물건이 커서 이걸로 오는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된답니다.
기본 배송조회 방법
자, 이건 기본 중의 기본이고요. 운송장 번호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답니다. ㅎㅎ
합동택배나 경동택배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운송장 번호만 입력하면 바로 조회가 가능해요. 보통 13자리 숫자로 되어있으니 하이픈(-) 없이 쭉 입력하시면 됩니다. 뭐 알고 보면 별거 없어요.
근데 문제는... 운송장 번호를 모를 때 아니겠어요?
운송장 번호 없을 때 조회 방법
저도 운송장 번호가 없어서 발만 동동 구른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죠. 고객센터는 전화 연결도 잘 안 되고... 정말 답답했답니다. 이걸 입질인 줄 알고 챔질 했다가 채비 터뜨린 적도 많았죠... 아니, 이건 낚시 얘기고요.
수없이 채비... 아니, 택배를 터뜨려가며 깨달은 저만의 비밀을 알려드릴게요.
1) '택배파인더' 앱 활용법
바로 '택배파인더'라는 앱인데요, 이거 하나만 깔아 두시면 신세계가 열립니다. 제 휴대폰 번호로 오는 모든 택배를 알아서 쫙~ 보여주거든요. 합동택배, 경동택배는 물론이고 다른 택배사 정보까지 한 번에 다 나오니 정말 편하답니다.
사용법도 간단해요. 앱 설치하고 휴대폰 번호로 본인 인증만 하면 끝! 그러면 지금 내 앞으로 오고 있는 합동택배 물건이 어디쯤 오고 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겠죠?
2) 최후의 수단, 영업점 직접 연락
만약 앱으로도 조회가 안 되는 특수한 상황이라면, 이게 마지막 방법입니다. 본사 고객센터(1899-3392) 말고요, 물건을 보내거나 받을 지역의 '영업소'로 직접 전화하는 겁니다. 이게 훨씬 빠르고 정확하더라고요.
포털사이트에서 '합동택배 OO점' 이렇게 검색하면 바로 연락처가 나오고요. 받으시는 분 성함이랑 전화번호만 알려주면 보통 바로 확인해 준답니다. 제가 실제로 여러 번 써먹은 방법이니 믿으셔도 좋습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Q1: 합동택배는 배송이 얼마나 걸리나요?
A: 보통 영업일 기준으로 다음날 도착하는 '익일 배송'이 원칙입니다. 다만, 도서산간 지역이나 물량에 따라 하루 이틀 정도 더 걸릴 수도 있고요.
Q2: 토요일이나 주말에도 배송하나요?
A: 네, 합동택배는 토요일에도 배송 업무를 합니다. 하지만 일요일이나 공휴일은 휴무이니 참고하셔야겠죠? ㅎㅎ
Q3: 배송 조회했는데 '간선상차'에서 멈춰있어요. 어떻게 하죠?
A: '간선상차'는 물건이 큰 트럭에 실려서 터미널 간 이동 중이라는 뜻입니다. 보통 밤새 이동해서 다음 날 아침에 도착하니 조금만 더 기다려보세요. 만약 하루 이상 멈춰있다면, 그때는 영업소에 한번 연락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결론
오늘은 합동택배 배송 조회 방법과 운송장 번호 없을 때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제는 합동택배로 상품이 오더라도 당황하시지 않으시겠죠? 합동택배 운송장 번호를 모를 땐, 첫째로 '택배파인더 앱'을 써보고, 안되면 '해당 지역 영업소'에 전화하기! 이 두 가지만 알면 앞으로 합동택배 때문에 속 터질 일은 없으실 겁니다.
이제 답답하게 기다리지 마시고, 이 글에서 얻은 자신감으로 당황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