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며칠 전, 정말 중요한 서류를 인쇄해야 할 일이 있었어요. 갑자기 프린터가 말썽을 부리는 거 아니겠어요? 다시 초기화 하고 브라더프린터를 연결했는데, 컴퓨터가 프린터를 인식조차 히자 못하더라고요. 정말 식은땀이 줄줄..."케이블을 잘 꽂았는데 뭐가 문제지?"라며 한참을 헤맸답니다.
결국 이것저것 해보다가. 드라이버를 새로 설치하고 나서야 겨우 한숨 돌릴 수 있었는데요. 저처럼 갑작스러운 프린터 문제에 당황하실 분들이 분명 계실 것 같아요. 브라더프린터 드라이버 설치를 실패 없이 한 번에 성공하는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편하게 따라와 주세요.
브라더프린터 드라이버 설치
모든 프린터가 마찬가지지만 드라이버가 없으면 컴퓨터는 프린터를 그냥 '웬 이상한 상자' 정도로만 인식한대요. 서로 말을 통하게 해주는 '통역사' 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구요.
이 통역사가 있어야만 양면 인쇄나 스캔 같은 고급 기능도 쓸 수 있고, "주인님, 잉크가 거의 다 떨어져 갑니다!"하고 컴퓨터 화면으로 알려주기도 하는 거랍니다. 저처럼 인쇄 버튼만 누르고 왜 반응이 없는지 발만 동동 구르는 불상사를 막기 위한, 정말 필수적인 과정이겠죠?
설치 전에 이것부터!
제가 가장 먼저 막혔던 부분인데요. 뭘 설치하려 해도 제 프린터 이름도, 제 컴퓨터 사양도 제대로 모르고 있었으니까요. 여러분은 저 같은 실수 하지 마시라고 딱 두 가지만 먼저 짚어 드릴게요.
1. 내 프린터 모델명 확인하기
프린터의 이름, 즉 모델명을 알아야 해요. 보통 프린터 앞면이나 윗면에 큼지막하게 쓰여 있답니다. 제껀 HL-L2365DW였는데, 혹시 안 보이면 제품 박스나 설명서를 한번 살펴보세요. 이걸 정확히 알아야 엉뚱한 드라이버를 받는 실수를 막을 수 있습니다.
2. 내 컴퓨터 운영체제(OS) 확인하기
그다음은 내 컴퓨터가 어떤 OS를 쓰는지 확인해야 해요. 대부분 윈도우(Windows) 아니면 맥(macOS)을 쓰실 거구요. 특히 윈도우는 '내 PC'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에 들어가면 몇 비트(32비트인지 64비트인지)인지 꼭 확인해두셔야 한답니다. 이것도 모르고 시작했다가 다운로드를 두 번이나 다시 받아 시도했습니다.
설치 따라하기
준비가 끝났으니 본격적으로 설치를 시작해 볼까요? 제가 직접 해봤으니 그대로만 따라오시면 됩니다.
1단계: 브라더 공식 지원 사이트 접속
포털 사이트에서 '브라더 코리아'라고 검색해서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는 게 가장 중요해요. 저도 급한 마음에 아무 데서나 받으려다 이상한 광고 프로그램만 잔뜩 깔릴 뻔했답니다. 꼭! 공식 사이트의 '지원/다운로드' 메뉴로 들어가세요. 안전이 최고니까요.
2단계: 모델명 검색 및 드라이버 선택
이제 아까 확인해 둔 모델명을 검색창에 똑같이 입력해 주세요. 그럼 컴퓨터 OS는 보통 자동으로 잡아주는데, 혹시 다르게 나온다면 직접 맞는 걸로 선택해주시구요. 여러 파일 중에 뭘 받아야 할지 고민된다면 무조건 'Full 드라이버 및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선택하세요. 이게 마음 편하답니다.
3단계: 다운로드 및 설치 진행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면 이제부터는 거의 시키는 대로만 하면 됩니다. 언어는 '한국어'로, 길고 긴 영어 설명(사용권 계약)은 '동의'를 눌러주시구요. 중간에 연결 방식을 물어보는데, USB 케이블로 연결할 건지, 무선(네트워크)으로 할 건지 선택하면 된답니다.
4단계: 프린터 연결 및 테스트 인쇄 (가장 중요!)
이 부분이 정말 중요한데요. 저처럼 성격 급하게 미리 USB 케이블을 꽂아두면 안 됩니다. 설치 프로그램 화면에서 "이제 프린터를 연결하세요"라는 메시지가 떴을 때! 바로 그때 케이블을 꽂아주는 게 포인트랍니다. 설치가 끝나면 컴퓨터를 한번 껐다 켜주고, 시험 삼아 아무거나 '테스트 인쇄'를 해보세요. '드르륵' 소리와 함께 깨끗한 종이가 나왔을 때의 정말 짜릿했답니다.
무선(Wi-Fi)으로 연결하기
요즘은 다들 깔끔하게 선 없는 무선 연결을 선호하시죠? 저도 케이블이 너저분한 게 싫어서 도전해 봤는데, 이건 조금 더 신경 쓸 게 많습니다.
먼저, 프린터랑 컴퓨터가 꼭 같은 와이파이(Wi-Fi)에 접속되어 있어야 해요. 이게 제일 중요하구요. 그다음 프린터의 작은 액정 화면을 조작해서 와이파이 설정 마법사를 실행한 뒤, 집이나 사무실의 와이파이 이름(SSID)을 찾아서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끝입니다! 조금 번거롭긴 해도 한번 해두면 정말 편하답니다.
드라이버 설치했는데 인쇄가 안 될 때
제 경험담인데요. 설치를 다 했는데도 프린터가 아무런 반응이 없을 때, 정말 화가 나는데요. 저도 그랬으니까요. 그럴 땐 아래 순서대로 한번 점검해 보세요. 제가 해결했던 방법들이랍니다.
- 전원은 켜져 있나요? 케이블은 꽉 꽂혀 있나요? (가장 기본이지만 의외로 이걸 놓치더라구요)
- '제어판 > 장치 및 프린터'에 들어가 보세요. 혹시 프린터 아이콘이 회색으로 '오프라인'이라고 되어 있진 않나요?
- 인쇄 대기열에 예전에 실패했던 문서가 찌꺼기처럼 남아 인쇄를 막고 있을 수도 있어요. '모든 문서 취소'로 깨끗하게 비워주세요. (제가 바로 이 문제였답니다!)
- 잉크나 토너가 부족해서 프린터가 작동을 안 할 수도 있고요. 가끔은 컴퓨터 백신 프로그램이 프린터와의 통신을 막기도 한대요.
브라더 프린터를 쓰면서 느낀 점
오늘은 브라더 프린터 드라이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고생 끝에 낙이 온다고, 막상 제대로 설치하고 나니 브라더 프린터, 이거 참 물건이더라구요. 잉크통이 커서 유지비도 적게 들고, 휴대폰 앱으로도 바로 인쇄가 되니 정말 편했구요. 알아서 노즐 청소도 해준다니, 저처럼 기계를 잘 모르는 사람에겐 딱이겠죠?
어떠셨나요? 저의 좌충우돌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기. 여러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최대한 솔직하고 자세하게 적어봤습니다. 이제 프린터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일은 없겠죠?